2025년 집중호우로 인해 다수의 지역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재난지원금 뿐 아니라 공공요금 감면, 세금 유예, 금융지원 등 다양한 혜택이 제공됩니다. 이 글에서는 신청 방법, 지원 내용, 절차를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 지원금 종류 및 금액 (요약)
- 구호금: 사망 2,000만 원 / 부상 최대 1,000만 원
- 구호비: 주택 전파 시 최대 123만 원
- 생계지원: 주생계수단 피해 시 최대 243만 원
- 주택 복구비: 전파·유실 2,200만~3,950만 원 / 반파 1,100만~1,975만 원
- 소상공인: 주영업장 피해 시 300만 원
🛡️ 특별재난지역 지정 시 추가 지원 혜택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경우에는 일반 재난지원 외에도 아래와 같은 정부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 국세 및 지방세 납부 유예: 납기연장, 징수유예 등 세금 부담 완화
- ✅ 공공요금 감면: 전기, 통신, 도시가스, 난방비 최대 6개월 감면
- ✅ 건강보험료 및 국민연금 경감: 최대 30~50% 수준 감면
- ✅ TV 수신료 면제: KBS 수신료 면제 (최장 6개월)
- ✅ 금융지원 확대: 소상공인, 자영업자 대상 긴급 저금리 융자
- ✅ 군 복무 예정자 입영 연기: 병무청 협조 하에 연기 가능
- ✅ 학자금 및 생활비 지원: 재학생 대상 특별장학금 및 생활자금 융자
- ✅ 관광 활성화 연계 혜택: 숙박세일페스타 통해 피해지역 숙박 할인
└ 7만원 이상 예약 시 5만원 / 7만원 미만 예약 시 3만원 할인
📌 지원금 신청은 어디서? 어떻게?
- 1. 주민센터 방문 신청
거주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피해 사실 확인서와 관련 서류를 제출하면 신청 가능합니다. - 2. 온라인 신청 (사유재산피해신고)
재난안전포털을 통한 인터넷 접수도 가능하며, 주택·어업·농업 등 다양한 분야의 피해 접수가 가능합니다. - 3. 재난안전 민원콜센터
☎ 110번으로 전화해 지원 방법 상담 가능
📋 지원금 신청 절차
신청 → 피해 확인 → 피해금액 결정 → 지원금 수령까지 아래와 같은 흐름으로 진행됩니다.
① 신고서 작성 → ② 읍면동 접수 → ③ 피해 현장 확인 → ④ 금액 산정 및 통보 → ⑤ 지원금 지급
✅ 마무리 안내
지원금 신청은 재난 종료일 기준 10일 이내 신고해야 하며, 이후에는 지원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피해를 입으신 모든 분들의 빠른 복구를 기원하며, 주변 이웃에게도 꼭 이 정보를 공유해주세요.
👉사유재산 피해 신고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