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최저임금이 시급 10,320원으로 확정되면서, 많은 분들이 "실제로 손에 쥐는 월급은 얼마일까?" 궁금해하십니다. 이번 글에서는 주휴수당 포함 월급, 4대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까지 상세하게 계산해드립니다.
🧮 실수령액 자동 계산기 바로가기1. 기본 월급 계산 (주 40시간 기준)
- 시급: 10,320원
- 월 근로시간: 209시간 (주 40시간 × 4.345주)
- 월급 = 10,320 × 209 = 약 2,156,880원
2. 주휴수당 포함 월급
- 주휴수당: 1일 8시간 × 시급 = 82,560원
- 월 평균 주휴수당: 약 180,880원
- 총 월급 = 2,156,880 + 180,880 = 2,337,760원
3. 4대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
예상 공제 항목 (월 233만원 기준):
- 국민연금 (4.5%): 약 105,000원
- 건강보험 + 장기요양 (3.545%): 약 82,800원
- 고용보험 (0.9%): 약 21,000원
총 공제액: 약 208,800원 → 실수령액 = 약 2,128,960원
4. 시급별 월급 & 실수령액 비교표
시급 | 월급 (209h) | 주휴 포함 | 실수령액 (예상) |
---|---|---|---|
10,320원 | 2,156,880 | 2,337,760 | 2,128,960 |
11,000원 | 2,299,000 | 2,492,000 | 2,270,000 |
12,000원 | 2,508,000 | 2,720,000 | 2,465,000 |
5.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주휴수당은 모든 근로자가 받을 수 있나요?
A. 아니요.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소정 근로일을 개근한 경우에만 해당됩니다.
Q2. 실질 시급은 얼마나 되나요?
A. 주휴수당 포함 시 약 11,869원입니다.
Q3. 주휴수당은 세후에 어떻게 처리되나요?
A. 통상 급여에 포함되어 4대 보험 공제 후 실수령액으로 환산됩니다.
Q4. 아르바이트도 주휴수당 받을 수 있나요?
A. 네, 알바도 주 15시간 이상 & 개근 조건을 충족하면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업종, 직종과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Q5. 파트타임 근무자도 최저임금 적용되나요?
A. 물론입니다. 근무 시간이 짧더라도 1시간 단위로 최저임금이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Q6. 수습 기간에도 최저임금이 보장되나요?
A. 원칙적으로는 예. 단, 6개월 미만 수습 기간 중 일부 직종은 90% 지급 허용이 있습니다. 그러나 편의점/카페 알바 등 대부분은 100% 적용됩니다.
Q7. 단기 근로자도 최저임금 대상인가요?
A. 네, 하루만 일하더라도 근로계약을 맺었다면 최저임금법 적용 대상입니다. 단기 계약, 일용직, 촬영 알바 등도 포함됩니다.
✅ 내 급여가 최저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기